전에 글 분량에 대해
초보들에겐 공백 미포함 10만 자(한글 A4로 100장 정도) 정도를
추천한 적이 있습니다.
그보다 더 적은 분량은 안 되냐고 질문하신다면
저는 솔직히 단편 쓰기가 훨씬 더 어렵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간혹 단편이라고 주신 원고를 보면
말만 단편일 뿐
단편이라고는 볼 수 없을 만큼
장편과 비슷한 흐름으로
몇 개 안 되는 에피소드로
구성해서 주시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단편은 분량 제약 때문에
대화보다는 지문으로 줄거리를 표현해 주고
구성이 치밀해야 하며
문체가 간결해야 합니다.
짧은데도 마치 장편을 본 듯한 느낌을 주려면
압축의 기술이 필수라고 생각하는데
그게 말처럼 절대 쉽지 않습니다.
내공이 필요합니다.
의외로 단편을 잘 쓰는 작가님은 적습니다.
그러다 보니 작가님들이 단편의 개념을
잘 모르시는 게 아닐까 하는
의구심마저 들 때가 많습니다.
유명한 단편을 몇 개 읽어 보시면
제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아실 겁니다.
제가 모든 작가님들을 다 아는 건 아니지만
제 휴대폰에 저장된 작가님만 해도
500명이 훨씬 넘습니다.
제가 전에 작가님들이 너무 많다는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정말 많습니다.
아마 로맨스, 로맨스판타지를 쓰시는 분들만 해도
2,000명 가까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시장에 비해 작가 비율이 심하게 과합니다.
공백미포함 10만 자면
전자책 값은 평균적으로 3,000원 정도 합니다.
커피 한 잔 값도 안 됩니다.
그럼에도 출간되는 책이 워낙 많다 보니
독자는 신중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많은 작품을 보고 싶은데
한 작품에 많은 돈을 투자하면
다른 책을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큰돈을 들여서 봤는데
적지 않은 실망을 한다면
돈이 아까울 수밖에 없겠죠.
그래서 절대 아무 책이나 보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잘 알지도 못하는 작가님 책이
3,000원을 넘어서면
부담이 돼 눈길도 안 주고 사질 않습니다.
작가님도 독자로 지낸 적이 있으니
어떤 마음인지 아실 겁니다.
그래서 적당한 분량과 책값 책정도
하나의 계산된 기획인 것입니다.
독자의 부담을 줄여 주고
확실히 눈도장을 찍은 다음
인지도가 높아지면
점점 긴 분량으로 접근하시는 게 좋습니다.
짧게 쓰는 게 도저히 안 된다고 하시면
긴 분량을 저렴한 가격에 서비스해 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간혹 이를 두고 출판사한테
가격 후려치기를 당했다고
분해하시는 초보 작가님들이 계시는데
위에서 언급한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일단 독자가 읽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야 어필도 할 수 있는 겁니다.
네임드 작가님도 글의 색깔을 바꾸고 싶어
필명을 바꿔 내시는 경우가 있는데
저는 기획자로서 글 분량 및 가격에 대해
똑같은 말씀을 드려 설득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제 예상이 맞아
신인 필명으로 성공한 사례도 꽤 됐습니다.
물론 글 분량, 책값보다 더 중요한 것은
글 자체입니다.
여러 박자가 맞아 들어가면
더 많은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걸
말씀드리는 겁니다.
대체로 작가님들은 워너비 출판사가 있을 겁니다.
왜 워너비 출판사를 찾는 걸까요?
모든 조건이 좋은 신생 출판사도 있는데 말이죠.
조건은 최상이지만
오랜 기간 출판, 유통 시스템을 잘 알고 있고,
그들만의 성공 노하우를 가진 출판사를 이길 순 없습니다.
그래서 어떻게든
투고를 하더라도 그런 곳에서
첫 작품이 나오는 게 여러모로 좋습니다.
투고에서 떨어진다면
저는 더 글을 가다듬어서
가급적 워너비 출판사에서
책을 내시라고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신생 출판사들이 보시면
제 목을 조르고 싶을지 모르지만...
믿을 만한 출판사에서 나오는 책은
독자들에게 그만큼 신뢰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선택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작가님께 도움을 드리는 글을 쓰고 있으니
이게 맞는 거겠죠.
제가 지금은 백수지만
훗날 출판사를 차리는 날이 온다면
저도 똑같은 어려움을 겪겠죠.
하지만 경쟁 사회는 냉정한 겁니다.
억울하면 열심히 해야죠.
한 방 제대로 터뜨려서
가만히 있어도 원고가 몰려드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합니다.
아무튼 어렵게 만족할 만한 작품이 하나 마련됐습니다.
초보는 투고가 답입니다.
부끄러워하지 말고 출판사 문을 두드려야 합니다.
쉽지 않을 겁니다.
워낙 쟁쟁한 작가님들도
이런저런 이유로 거절당하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그래도 열심히 두드려야 합니다.
요즘은 유통사 직계약이 많아서
출판사와 비교해 어느 쪽으로 가야 할지
고민인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내일은 이런 고민을 가진 분들을 위해
장단점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다들 힘내서 오늘도 건필하세요!
'장르웹소설쓰기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르소설 웹소설 작가 지망생을 위한 팁 8 (0) | 2019.02.17 |
---|---|
장르소설 웹소설 작가 지망생을 위한 팁 7 (0) | 2019.02.01 |
장르소설 웹소설 작가 지망생을 위한 팁 5 (0) | 2019.01.29 |
장르소설 웹소설 작가 지망생을 위한 팁 4 (0) | 2019.01.28 |
장르소설 웹소설 작가 지망생을 위한 팁 3 (0) | 2019.01.26 |